웹서버7 리눅스 서버 메모리 캐시(버퍼) 비우기 리눅스 서버를 운용하다보면 free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가 있다.이는 메모리에 캐시해서 그런 현상. free -h 명령으로 메모리를 조회하면 이렇게 35Gi 가 남은 것을 볼 수 있다. sudo echo 1 > /proc/sys/vm/drop_cachessudo echo 2 > /proc/sys/vm/drop_cachessudo echo 3 > /proc/sys/vm/drop_caches root계정으로 실행.이 명령어를 통해 정리 할 수 있는데 셋 다 할 필요는 없고 필요시 차례로. 1은 page 캐시를 삭제2는 dentry(Directory Entry) 및 inode 캐시 삭제3은 1,2 모두 삭제 명령 실행 후 buff/cache 영역이 free로 이동한 것을 확인 가능. 다시 사용하다보면 또 c.. 2025. 3. 5. 우분투(Ubuntu) 22 서버에 PostgreSQL 11 설치하기 VM에 설치하면서 정리합니다. 기본적으로 우분투 22의 apt 에는 postgres 11에 대한 repo 정보가 없어서 추가작업을 해줘야 합니다. 아래와 같이 하면 간단히 설치가 마무리됩니다. # apt에 pg11 이 있는지 확인 $ sudo apt show postgresql-11 # apt key 등록 $ wget --quiet -O - https://www.postgresql.org/media/keys/ACCC4CF8.asc | sudo apt-key add - # repo 등록 $ sudo echo "deb http://apt.postgresql.org/pub/repos/apt/ $(lsb_release -cs)-pgdg main" | sudo tee /etc/apt/sources.list.d/p.. 2023. 8. 1. 간단하게 글로 보는 linux NFS 서버 설정 (CentOS, Rocky) 오래전 노트에 적어둔것을 블로그에 정리. yum install -y nfs-utils nfs-utils-lib 포트설정 /etc/sysconfig/nfs 수정 LOCKD_TCPPORT=32803 LOCKD_UDPPORT=32769 MOUNTD_PORT=892 RQUOTAD_PORT=875 STATD_PORT=600 STATD_OUTGOING_PORT=601 공유디렉토리 설정 vi /etc/exports /storage xxx.xxx.xxx.xxx(rw,sync,no_root_squash) 192.168.111.0/24(rw,sync,no_root_squash) 방화벽 설정 - iptables 설정 변경(생략) 서비스 시작 service rpcbind start service nfslock start se.. 2023. 5. 23. 리눅스 CPU 코어 수 확인 프로그램에서 바라보는 코어 수 확인 방법. grep -c processor /proc/cpuinfo 이 방법은 하이퍼쓰레딩이 적용되어 있어 가상코어 수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 실제 Spark 등에서는 이 코어 수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, 물리 코어 수 확인이 필요한 게 아니라면 이 값을 사용하면 됩니다. CPU 개수 확인 dmidecode -t processor | grep 'Socket Designation' 이 명령어로는 실제 CPU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 PC에는 2개의 물리적인 CPU가 장착되어 있습니다. CPU가 가진 물리 코어 수는 다음 명령으로 알 수 있습니다. grep 'cpu cores' /proc/cpuinfo | tail -1 즉 8코어 x 2개 x 2쓰레드 = 32코어. 2022. 11. 17. 우분투 메뉴 한글패치 하기 우분투를 처음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한글을 지원하기는 하는데, 각종 프로그램들 메뉴화면들이 전부 영어로 나온다. 이를 간단한 명령을 통해 한글로 변경할 수 있다. 터미널 창을 열고, # sudo apt-get install language-support-ko 위 명령을 실행하면, 랭기지 팩을 설치하여 메뉴를 한글로 표시해주게 된다. 2007. 9. 2. 리눅스 시스템 언어 설정 리눅스 시스템 언어 설정 방법입니다. 콘솔에서 여기서 설정된 코드를 기준으로 문자를 뿌려줍니다. 즉 utf-8로 설정할 경우 utf-8로 뿌려주기 때문에 eucKR 콘솔에서는 깨져서 나옵니다. 파일은 /etc/sysconfig/i18n 입니다. 파일을 여시면 LANG="ko_KR.eucKR" SUPPORTED="en_US.UTF-8:en_US:ko_KR.eucKR:ko_KR:ko" SYSFONT="lat0-sun16" SYSFONTACM="iso15" 이렇게 써있을 것 입니다. 한글 코드를 변환시키고 싶으시면 위에 밑줄 친 부분을 바꾸시면 됩니다. ko_KR.utf-8 로 하셔도 되고요.. 한글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보통 eucKR을 많이 사용합니다.. 아직은 utf-8 을 많이 사용 안하는 듯 싶더라고요.. 2007. 6. 26. 이전 1 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