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응답형 게시판 구조에 대하여.
보통 사용하는 방식.
id : 자동 증가하는 글의 번호.
gid : 그룹 아이디. 답글들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며 그룹id는 메인 글의 id와 동일하다.
seq : 그룹 내 글의 순서를 정함.
depth : 글의 깊이
위 3개의 필드로 응답형 게시판을 생성할 수 있다.
예를들어..
id gid seq depth
4 4 0 0 글
3 3 0 0 글
2 2 0 0 글
6 2 1 1 -> 글
5 2 2 1 -> 글
8 2 3 2 -> 글
7 2 4 2 -> 글
1 1 0 0 글
이런 식으로 생성이 가능하다.
seq는 글의 삽입 위치에 따라 하위 글들의 경우 글 추가시 1씩 증가하게 된다.
이 방법이, 글 삽입 & 수정 & 삭제 & 정렬 등에 있어서 가장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,
꽤 효과적이다.
DB 갱신 없이 하는 방법은, 복잡한 DB 수식으로 인해 오히려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.
seq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의 경우 아래 글을 참조하면 된다.
'프로그래밍 > 보리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테이블 규모를 너무 크게 만들고 있는 것 같다. (0) | 2008.06.03 |
---|---|
대략적인 작동 구조 설명 (0) | 2008.06.01 |
응답형 게시판 알고리즘 1 (1) | 2008.03.30 |
[보리보드] 게시판 구조 (0) | 2008.03.25 |
[보리보드] DB 설계 작업 (0) | 2008.02.21 |
공지사항
- Total
- 214,285
- Today
- 0
- Yesterday
- 2
TAG
- A200
- 알파200
- 멘드라미
- 라이트스크라이브
- 서벨로
- 이명박
- HP 2710P
- 리눅스
- 게시판 설계
- 아파트공사현장
- lightscribe
- 강아지
- 스보
- 보리
- 말티즈
- 잡담
- 2710p
- 불법공사
- x61
- 보리보드
- 대도루피
- 평화의문
- CERVELO
- 스타일보고서
- 써벨로
- 세명대학교 교양
- 맛없는집
- W5700
- 꽃
- 400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