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 시스템 언어 설정
리눅스 시스템 언어 설정 방법입니다. 콘솔에서 여기서 설정된 코드를 기준으로 문자를 뿌려줍니다. 즉 utf-8로 설정할 경우 utf-8로 뿌려주기 때문에 eucKR 콘솔에서는 깨져서 나옵니다. 파일은 /etc/sysconfig/i18n 입니다. 파일을 여시면 LANG="ko_KR.eucKR" SUPPORTED="en_US.UTF-8:en_US:ko_KR.eucKR:ko_KR:ko" SYSFONT="lat0-sun16" SYSFONTACM="iso15" 이렇게 써있을 것 입니다. 한글 코드를 변환시키고 싶으시면 위에 밑줄 친 부분을 바꾸시면 됩니다. ko_KR.utf-8 로 하셔도 되고요.. 한글을 사용하는 곳에서는 보통 eucKR을 많이 사용합니다.. 아직은 utf-8 을 많이 사용 안하는 듯 싶더라고요..
웹서버/리눅스
2007. 6. 26. 01:07
새로 생성한 계정의 기본 디렉토리 만들기
리눅스(linux) 에서 adduser 명령을 통해 계정을 생성하게 되면 홈 디렉토리(보통 /home) 밑에 사용자 아이디 명으로 디렉토리가 생성이 됩니다. 그 사용자 홈 디렉터리의 하부에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디렉토리를 생성하도록 하는 방법 입니다. 간단합니다. /etc/skel 디렉토리 밑에 생성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만드시면 됩니다. 저는 public_html 과 public_html/WEB-INF 를 만들어 사용 중입니다. 기타 필요한 디렉토리를 만들어 두시면 편리합니다.
웹서버/리눅스
2007. 6. 26. 01:00
공지사항
- Total
- 214,285
- Today
- 0
- Yesterday
- 2
TAG
- 서벨로
- HP 2710P
- A200
- 아파트공사현장
- 평화의문
- 스타일보고서
- 보리보드
- 꽃
- 써벨로
- 보리
- 불법공사
- lightscribe
- W5700
- 세명대학교 교양
- 잡담
- 리눅스
- 라이트스크라이브
- 맛없는집
- 알파200
- 강아지
- x61
- 멘드라미
- CERVELO
- 2710p
- 대도루피
- 스보
- 400d
- 게시판 설계
- 말티즈
- 이명박